본문 바로가기

[여행] 해외/대만

[🎒 여행 준비 2] 대만 이모저모 (대만 날씨, 음식, 야시장, 종교, 다양한 거리 문화)

728x90
SMALL

 

개요

 

요즘은 "아는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참 좋다. 새로운 경험을 할 때 내가 미리 알고 있는 정보와 같이 비교하며 살펴보는 그 설레임이란 여행의 풍미를 더하기 때문이다. 어렸을 적에는 이 모든 것이 그저 '귀찮은 행동'으로만 느껴졌는데 점점 나이를 먹을 수록 이런 재미가 쏠쏠해진다.

 

이번 챕터에서는 대만의 날씨, 문화, 간단한 역사, 그리고 대만에 대해 궁금한 부분을 찾아서 정리한 대만 이모저모에 대해 정리하고 기록해보고자 한다. 추후 이 기록은 여행지에서의 경험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본론

 

1. 대만 날씨 🌥️

📌 특징

아열대성 기후로 연중 따뜻하고 습도가 높음

 

대만은 섬나라다. 따라서 습도가 매우 높은 편이고 연중 따뜻한 편이다. 대만 날씨는 주로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아열대성 기후로 연중 온난하고 연 평균 기온은 22도
  • 습도가 높은 편인데 평균 습도가 75% ~ 85% 정도 (제주도 연평균 습도가 73% 정도)
  • 연 강수량은 2,000mm ~ 2,600mm 정도로 강수량이 매우 풍부

물론 그렇다고해서 항상 따뜻한 것만은 아닌데, 현지 대만 친구말로는 12월에는 대만에서 하루 만에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모두 느낄 수 있다고한다. 그만큼 변화 무쌍한 날씨라고 할 수 있다.

 

📌 상세 날씨

계절별 상세 날씨는 아래와 같다.

 

봄 🌸 (3월 ~ 5월)

  • 기온: 15-25°C
  • 특징:
    • 간헐적인 봄비와 안개비 잦음
    • 꽃놀이 최적기(벚꽃, 매화 등)
    • 일교차 큰 편으로 얇은 겉옷 필수
    • 황사 영향 가능성 있음

 

여름 ☀️ (6월 ~ 8월)

  • 기온: 27-35°C
  • 특징:
    • 한여름 체감온도 40°C 이상
    • 자외선 지수 매우 높음
    • 스콜성 소나기 빈번
    • 태풍 시즌(7-9월)으로 일정 조정 필요할 수 있음
    • 에어컨 사용이 보편적이라 실내외 온도차 큼

 

가을 🍁 (9월 ~ 11월)

  • 기온: 20-27°C
  • 특징:
    • 여행하기 가장 좋은 날씨
    • 습도 낮아져 쾌적
    • 단풍 구경 가능
    • 늦가을부터 가벼운 비 잦아짐

 

 

겨울 ❄️ (12월 ~ 2월)

  • 기온: 15-20°C
  • 특징:
    • 북동계절풍의 영향으로 비가 잦음
    • 중부 산간지역은 기온 더 낮음
    • 따뜻한 온천 여행 성수기
    • 실내 난방시설 부족할 수 있음

 

확실히 2024년 기준으로 봐도 7월 ~ 8월 기온이 가장 높고 9월을 기점으로 점점 떨어지는 걸 볼 수 있다.

12월에는 10도까지 기온이 떨어지기도한다.

출처 - weather spark

 

📌 방문 시기

그럼 대만은 언제 방문하는 게 좋을까? 개인차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얘기하는 적절한 시기는 9월 ~ 12월이라고한다. 보통 봄 ~ 여름 시즌은 기온이 높고 스콜성 비가 자주오기 때문에 여행이 다소 불편해질 수 있다. 또한, 여름에는 태풍 시즌이 겹쳐있어서 조심해야한다. 

 

가을에는 습도가 낮아서 쾌적하다. 비가 좀 올 수는 있지만 잠깐씩 내리는 비라서 양이 많지 않은 편이다. 또한, 계절에 맞는 단풍 구경과 온천 여행도 함께 즐기기 적당하다. 정말 그런지는 이번 여행을 다녀보면서 확인해보려고한다.

 

2. 대만 문화 

📌 언어

대만은 기본 공식 언어가 '중국어(표준 중국어)'라고한다. 번체자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간체자를 많이 사용하는 중국과는 차이가 있다. 여담이지만 대만 친구들이 자주 하는 얘기 중에 하나가 "중국인들은 문자 개혁의 일환으로 간편하게 사용하는 간체자를 많이 사용하지만 우리는 오리지널을 살린 번체를 써! 그러니까 우리가 근본(?)이야"였다. 그만큼 표준 언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자부심이 있는 듯하다. 공식 언어의 핵심 특징은 아래와 같다.

  • 번체자 사용 
  • 성조는 중국 본토와 동일하게 4성을 사용
  • 공식 문서, 교육, 방송 매체의 주 사용 언어
  • 젊은 세대들은 대부분 중국 표준어에 능통

 

대만에는 공식 중국어 외에도 '타이완어(민남어 라고도한다)', '객가어', '원주민어'가 지역 언어로 널리 사용되고있다. 각 언어의 핵심 특징은 아래와 같다.

 

  • 타이완어(민남어 / 대만어)
    • 인구의 70% 이상이 사용하는 실질적 모국어 (단, 젋은 세대에서 사용 빈도는 감소 추세)
    • 총 8성으로 표준 중국어보다 복잡한 성조 체계 
    • 요즘 대만인들은 공식 중국어와 대만어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고 함
  • 객가어
    • 인구의 약 15% 정도가 사용하는 언어 
    • 중국 광둥성 동부, 푸젠성 서부, 대만에서 쓰이는 중국어의 방언
    • 특유의 억양과 어휘 체계 보유
  • 원주민어 (대만제어)
    • 대만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고산어파의 여러 언어를 통칭해서 일컫는 말
    • 16개 공식 인정 부족의 고유 언어 
    • 정부 차원의 언어 보존 정책을 실시하고 학교에서 선택 과목으로 교육을 하기도 함

 

📌 종교

대만은 기본적으로 헌법에 의거하여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 따라서 불교, 도교, 천주교, 유대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어우러져있다. 여러 종교 중에서도 '불교'와 '도교'가 가장 핵심적인 종교라고 할 수 있다.

 

  • 불교 (전체 국민의 약 35%)
    • 인도적 가치와 자비를 중시하는 신념
    • 채식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 
  • 도교 (전체 국민의 약 33%)
    • 중국 전통 도교와 현지 신앙의 융합 
    • 일상 생활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

 

종교에 초점을 맞춰서 방문해볼만한 대만 여행지를 간략하게 소개해보면 아래와 같다.

  • 용산사(龍山寺)
    • 위치: 타이베이 시 완화구(萬華區)에 위치하며 MRT 롱산스역에서 도보 5분 거리
    • 역사: 1738년 푸젠성 이주민들이 건립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 폭격으로 일부 파괴되었다가 재건
    • 핵심 특징
      • 관음보살을 주불로 모심
      • 불교/도교/민간신앙이 융합된 대만의 대표적 종교 건축물
      • 전통 건축양식의 정교한 목조와 석조 장식이 특징
  • 불광산사(佛光山寺)
    • 위치: 가오슝시 다수구(大樹區)에 위치하며 가오슝 도심에서 차로 약 40분 거리
    • 역사: 1967년 성운대사가 창건했으며 현대 대만 인문불교의 발상지로 세계 각지에 200여 개의 분원 보유
    • 핵심 특징
      • 세계에서 가장 큰 금동 좌불상을 보유하고 있음
      • 불교 교육기관과 박물관을 운영하는 현대식 종합 사찰 단지
  • 대천후궁(大天后宮)
    • 위치: 타이난시 중서구(中西區)에 위치하며 타이난 공항에서 차로 약 15분 거리
    • 역사: 1664년 정성공이 건립한 대만 최초의 마조 사원으로, 35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
    • 핵심 특징
      • 마조 신앙의 중심지
      • 매년 음력 3월 마조 순례 행사의 시작점이며 정교한 전통 건축 양식과 역사적 문물 다수 보유

📌 음식

대만의 음식 문화는 지리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이 어우려져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섬으로 이루어진 국가적 특성으로 아열대성 기후가 만들어졌고 이로 인해 신선한 해산물과 열대 과일이 풍부하며 고온다습한 날씨로 인해 발효 음식과 향신료가 발달했다. 

 

복건성 출신의 이주민들의 민남 요리를 기본으로 일제 강점기의 일본 식문화와 국민당 정부 이주로 유입된 중국 각 지역의 요리법이 융합되어 독특한 미식 문화가 형성되었다. 특히 야시장을 중심으로 한 길거리 음식 문화가 발달했고 우육면, 샤오롱바오, 버블티와 같은 대표 메뉴들이 세계적인 미식가들의 입 맛을 사로잡는다.

 

🎈 대만 음식의 특징

  • 지리적 영향
    • 아열대성 기후의 영향
      • 연중 따뜻한 날씨로 4계절 신선한 식재료 공급
      •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한 발효음식 발달
      • 향신료와 마늘 등 항균 식재료 많이 사용 
    • 해산물과 열대과일
      • 섬나라 특성상 다양한 해산물 요리 발달
      • 대표 해산물: 굴, 새우, 오징어, 게
      • 특산 과일: 망고, 파인애플, 여지, 용안
    • 차 문화
      • 지리적 이점
        • 산악 지형(해발 1,000m ~ 2,000m)과 아열대성 기호로 차 재배가 이상적
        • 연중 따뜻하고 안개가 많은 날씨로 차나무 생육에 최적
        • 배수가 잘 되는 토양 조건으로 고품질의 차 생산 가능
      • 역사적 배경
        • 180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상업적 차 재배 시작
        • 일제 강점기 동안 체계적인 차 재배 기술 도입
        • 전통적으로 중국의 차 문화를 계승하면서 독자적 발전
      • 대표적인 대만차
        • 고산차(高山茶): 높은 고도에서 재배해 맛과 향이 뛰어남
        • 동딩우롱차(凍頂烏龍): 대만에서 가장 유명한 우롱차
        • 백모단(白毫烏龍): 가벼운 발효차로 꽃향이 특징
        • 철관음(鐵觀音)" 진한 향과 맛이 특징인 반발효차
      • 이러한 차 문화가 현대에는 버블티로 진화
  • 역사적 영향
    • 민남 지역 영향
      • 복건성 스타일의 조리법 기본
      • 달짝지근한 맛 선호
      • 해산물과 돼지고기 위주 요리
    • 일제 강점기 영향
      • 덮밥 문화 도입
      • 튀김요리 보편화
      • 위생 관념 정착
    • 국민당 정부 이주 영향
      • 사천, 북경, 상해 등 각 지역 요리 유입
      • 마라탕, 훠궈 등 중국 전역 요리 적용
      • 재료와 조리법의 다양화

 

🎈 대만 대표 음식 (대만 음식 편에서 자세하게 다룰 예정)

  • 🍜 면류
    • 우육면 (牛肉麵)
      • 종류와 특징
        • 홍소우육면: 간장 베이스의 진한 육수, 약간 달달한 맛
        • 청탕우육면: 맑은 육수, 소고기 본연의 맛
        • 홍소우육면이 더 인기있고 관광객 선호도 높음
      • 먹는 방법
        • 면을 건져 육수 맛을 보고 시작
        • 고수, 청경채 등 채소는 취향껏 추가
        • 식초, 고추기름 등 고명 추가 가능
      • 추천 가게
  • 🥟 딤섬류
    • 샤오롱바오 (小籠包)
      • 딘타이펑의 특징
        • 18-22개의 정교한 주름이 표준
        • 피 두께 정확히 0.8mm
        • 육즙 대 만두피 비율 정확히 측정
      • 올바른 먹는 방법
        • 젓가락으로 조심스레 들어 숟가락에 올림
        • 만두 한쪽을 살짝 깨물어 구멍 냄
        • 육즙을 살짝 마신 후 식초와 생강 곁들여 먹기
    • 꾸아빠우 (割肉包)
      • 특징
        • 민남식 찐빵의 대만식 해석
        • 부드러운 빵피가 특징
        • 돼지고기 위주의 소 사용
  • 🍨 디저트류
    • 망고 빙수 
      • 대만 망고는 전세계적으로 맛이 괜찮은 걸로 유명하고 대맨 내에서 재배되는 품종만해도 10가지가 넘는 것으로 알려짐 
      • 계절성
        • 최고 시즌: 5-8월
        • 비수기에는 냉동 망고 사용
        • 성수기엔 애플망고 사용
      • 특별한 특징
        • 우유 얼음이 특징 (일반 얼음 아님)
        • 연유의 농도로 단맛 조절
        • 망고 외 계절과일 선택 가능
    • 버블티
      • 역사
        • 1980년대 타이중 춘수당에서 시작
        • 초기에는 타피오카 펄 없이 시작
        • 1990년대 펄 추가되며 세계적 인기

📍 대만의 식도락 문화

  • 대만 야시장 문화
    • 이용 시간
      • 대부분 오후 4시-자정
      • 주말은 새벽까지 운영하는 곳도 꽤 있음
    • 주요 야시장별 특징(참고:대만 8대 야시장 소개)
      • 스린 야시장
        • 운영 시간: 04:00 PM ~ 12:00 AM
        • 규모: 대만 최대
        • 특화 음식: 스린 치킨 스테이크
        • 현지인 팁: 안쪽 골목이 더 저렴
      • 라오허제 야시장
        • 운영 시간: 05:00 PM ~ 12:00 AM
        • 특징: 전통 음식 중심
        • 추천 메뉴: 오이스터 미수, 취두부
        • 관광객 편의시설 우수
      • 닝샤 야시장
        • 운영 시간: 05:00 PM ~ 11:30 PM
        • 특징: 해산물 특화
        • 인기 메뉴: 굴 오믈렛
        • 현지인 비율이 높은 편
      • 시먼딩 야시장
        • 운영 시간: 05:00 PM ~ 10:00 PM
        • 다른 야시장들에 비해 조금 빨리 닫는 편
        • 먹거리보단 상점이 많은 편 
        • 다른 야시장들에 비해 규모가 큰 편은 아님
  • 식사 예절과 팁
    • 기본 예절
      • 식사 전 연장자 기다리기
      • 공용 젓가락 따로 사용
      • 젓가락을 밥그릇에 꽂지 않기
    • 주문 문화
      • 대부분 선불제
      • 별도 봉사료 없음
      • 남은 음식 포장 가능
    • 특이사항
      • 차는 기본 제공 (리필 가능)
      • 물은 따뜻한 물 제공
      • 티슈는 별도 구매하는 경우 많음

📍 실용적인 음식 관련 팁

  • 가격대
    • 길거리 음식: 30-100 TWD (한화 약 1,300원 ~ 4,400원)
    • 일반 식당: 150-300 TWD (한화 약 6,500원 ~ 13,000원)
    • 고급 식당: 500 TWD 이상 (한화 약 22,000원)
    • 딘타이펑: 300-500 TWD/인 (한화 약 13,000원 ~ 22,000원)
  • 채식 옵션 🥕
    • 불교 영향으로 채식 식당 많음
      • 대만은 인구의 약 13% ~ 14% (약 500만명) 정도가 채식주의자로 아시아에서 가장 높고 전 세계 2위에 해당함 채식 비율
      • 베지테리언 훠거집이 따로 있을 정도
    • '수식(素食)' 간판 찾기
      • 수식은 젓가락, 포크 같은 도구 없이 오로지 손으로 먹는 식사 문화를 말함
    • 채식 버전 대부분 구현 가능
      • 전통적인 불교 채식
      • 일반적인 채식
    • 주요 채식 식당가
      • 타이베이 중산구
      • 신의구 광복남로
      • 용산사 주변
    • 메뉴 주문팁
      • "워 스 수식즈" (我是素食者,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 "부요 로우" (不要肉, 고기 빼주세요)
      • "순수식" (純素食, 비건)
    •  기타

 

📌 현대 문화 (feat. 카페, 자전거, 영화와 드라마)

 

대만의 현대 문화는 전통과 현대성이 조화롭게 융합된 것이 특징이다. 전통 차 문화가 현대적 카페 문화로 진화하며 제3물결 커피의 중심지로 부상했고 자전거 문화의 활성화를 통해 환경 친화적이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편이다. 또한, 영화와 드라마 산업에서는 일상의 섬세한 묘사와 사회적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한 독특한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디지털 문화와 친환경적 가치관이 확산되면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과 소비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아직 대만을 방문하지도 않았는데, 알아보면 알아 볼 수록 매력적인 나라인 것 같다. 아시아권의 문화와 서구권의 문화가 적절하게 융합된 느낌이랄까? 이번 챕터에서는 대만의 현대 문화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고자한다.

 

📍 카페 문화의 진화

  • 전통에서 현대로
    • 차 문화의 현대적 재해석
      • 전통 차 예절을 현대적으로 응용
      • 차와 커피의 퓨전 메뉴 개발
      • 다도 체험과 커피 테이스팅 결합
    • 제3물결 커피의 메카
      • 자체 로스팅 카페 500개 이상
      • 대만산 커피 생산 증가
      • 국제 바리스타 대회 다수 수상
  • 대만 카페의 특징
    • 24시간 운영 문화
      • 심야 스터디족 수용
      • 야간 문화 활성화
      • 안전한 심야 문화 공간
    • 공간 활용
      • 복합문화공간으로 진화
      • 갤러리, 서점 결합
      • 공연장, 강연장 기능
    • 특색있는 메뉴
      • 버블티 베이스 커피
      • 대만 과일 활용 음료
      • 현지 재료 디저트
  • 대만의 주요 카페 거리
    1.  용캉제(永康街)  
      • 우리나라 삼청동, 연희동과 비슷한 느낌
      • 예술가들의 아지트
      • 빈티지 카페 밀집
      • 독립 출판물 판매
    2. 시먼딩(西門町)
      • 대만의 '명동'이라고 불리는 곳 
      • 젊은층 타겟 트렌디 카페가 많고 쇼핑샵, 마사지숍 등 다양한 가게가 있음
      • SNS 인기 포토존
      • 실험적인 메뉴 개발
    3. 중산구(中山區)

📍 자전거 문화의 발전

  • 인프라 구축
    • YouBike 시스템
      • 전국 2,000개 이상 정거장
      • 스마트폰 앱 연동
      • 대중교통 환승 할인
      • 서울 따릉이처럼 어플에 카드 등록하고 대여 가능 (대만 현지 번호 필요)
    • 자전거 도로
      • 자전거와 오토바이 (이륜차) 도로를 공유함 
      • 총 연장 5,000km 이상
      • 도시간 연결 네트워크
      • 안전 시설 완비
  • 자전거 관광

결론

대만의 날씨를 시작으로 간단한 역사, 문화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보다 많은 내용을 개괄적으로 찾아보고 정리하다보니 깊이 보단 너비에 초점을 맞췄다. 이 글의 내용 중에서 음식과 관광지(e.g. 야시장, 거리 등) 파트는 다른 챕터에서 보다 자세하게 다뤄보고자한다.

728x90
LIST